센터소개 SRRC Overview
추진 배경
- 소프트 로봇 개념의 태동 및 로봇 설계/생산/제어 패러다임의 변화
- 웨어러블 로봇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 및 소프트 웨어러블 로봇 등장
- 기존 소프트 웨어러블 로봇과 차별화된 개발 방향 설정을 통한 원천기술 확보 필요성 대두
연구개발의 필요성
- 산업용 로봇에서 출발한 로봇 공학은 탐사, 서비스, 의료, 휴머노이드 로봇 등으로 연구 범위가 확장되었으며 최근에는 웨어러블 로봇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
- 웨어러블 로봇은 소형화와 착용성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으나, 더욱 진보된 인간-로봇의 협응을 위해서는 ‘소프트 웨어러블 로봇‘ 기술 개발이 시급함
- 또한 아직 태동기인 소프트 로봇 분야는 요소기술 위주의 연구가 진행 중이나, 국제적으로 연구를 선도하기 위해서는 설계, 생산, 구동, 센싱, 제어 분야를 융합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완성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함
- 소프트 웨어러블 로봇 시스템 연구를 통해 인체 모든 부위에 적용 가능한 원천 기술 개발이 가능할 것이며, 이는 헬스케어, 아웃도어, 산업용, 가상/증강 현실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 가능해 국가 산업 경쟁력의 밑거름이 될 것임
비전 및 목표
일상생활에 사용이 가능한
인간 중심의 소프트
웨어러블 로봇 개발
인간 중심의 소프트
웨어러블 로봇 개발
국내외 연구기관 및 산업체와
협력체제를 구축하여
소프트 로봇 융합 연구의 국제적 허브 구축
협력체제를 구축하여
소프트 로봇 융합 연구의 국제적 허브 구축
소프트 웨어러블 로봇 개발을 위한
오픈 이노베이션 플랫폼 구축하여
로봇 관련 신산업 창출
오픈 이노베이션 플랫폼 구축하여
로봇 관련 신산업 창출

단계별 추진전략
1단계 원천기술 개발 (2016.11- 2019.12)
소프트 구조 및 구조 메커니즘 설계(정확한 데이터 수집을 위한 센서 고려 구조 설계)
소프트 센서 설계 및 생산 기술(센서 네트웍을 통한 효과적 데이터 수집)
소프트 로봇 제어 알고리즘(생체역학/비정형 플랫폼을 고려한 소프트 로봇 제어)
소프트 센서 설계 및 생산 기술(센서 네트웍을 통한 효과적 데이터 수집)
소프트 로봇 제어 알고리즘(생체역학/비정형 플랫폼을 고려한 소프트 로봇 제어)
2단계 시제품 개발 (2020.01 - 2022.12
개별 그룹에서 개발된 원천기술 융합하여 팔꿈치, 무릎, 어깨, 고관절, 손목, 발목에 대한
6가지 시제품개발 및 실용성 평가
6가지 시제품개발 및 실용성 평가